삼성 갤럭시노트3 역사와 대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볼까 합니다.
삼성 갤럭시노트3
삼성 갤럭시노트3은 삼성전자가 2013년 9월 초 IFA 2013에서 최초로 공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서 갤럭시노트2의 후속작으로 발표를 하게 됩니다. 디자인은 갤럭시노트1이 연상될 정도로 외형이 비슷하게 생겼으나 뒷면은 달랐습니다. 얼핏보면 가죽을 사용한 것으로 보였을지도 모르지만 삼성에서 개발한 플라스틱과 특수도료의 혼합방식으로 뒷면 처리를 했기 때문에 질감이 가죽을 연상시켜 사람들이 가죽으로 착각했을 정도라고 합니다. 삼성전자는 실제로 가죽을 적용한 플립 커버 및 S뷰 커버도 함께 출시하였는데 S뷰커버는 블랙과 화이트 두가지로 배포되었지만 갤럭시노트3 색상은 블랙과 화이트 두종류에서 벗어나 핑크색도 출시하여 총 3가지 색의 칼라로 출시하였는데 당연히 여성유저들을 공략함이 아닌가 싶습니다. S뷰 커버가 워낙에 가죽느낌이 많이 나는 탓에 네티즌중 누군가가 S뷰 커버에 의문을 제기했지만 삼성측에서는 PU가죽이라고 답변을 듣게 되었습니다. PU가죽이란 폴리우레탄의 줄임말이며 동물을 잡아 만드는 천연가죽이 아닌 화합물의 조합인 인조가죽입니다. 당연히 천연가죽에 비해 만드는 비용도 훨씬 고가에다 삼성전자의 이미지상 천연가죽을 사용했다간 동물애호가들에게 무슨 말을 들을 지 모르기 때문에 이러한 인조가죽을 채택했겠죠?
전작의 갤럭시노트1 및 갤럭시노트2에 대해 몇가지 논란이 있자(S펜버벅임,딜레이) 개발방향을 디자인보다는 성능 및 실용성에 맞추게 됩니다. 갤럭시노트2가 5.55인치 화면인 것에 비해 갤럭시노트3은 5.7인치화면정도로 둘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게 하였는데 이는 갤럭시S3와 갤럭시S4의 화면크기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한 비교내용이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전작인 갤럭시노트2에 비해 두께를 1.1mm,무게를 15g가량 줄였지만 일본 및 국내모델에 대해서는 모바일 TV모듈(DMB)및 안테나 탑재로 인해 무게가 4g정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크기와 무게는 전작에 비해 약간 낮아졌으며 갤럭시노트3 내부에 장착되는 CPU 역시 성능이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삼성 엑시노스 5420 및 퀄컴 스냅드래곤 800 두종류로 출시하게 되었는데 이때당시만 해도 통신분야가 3G 및 LTE 두종류로 나뉘어 선택해야 하는 시기였기 때문에 3G모델에 삼성 엑시노스, LTE모델에 퀄컴 스냅드래곤이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램 또한 기존에 비해 증가하게 되었는데 LPDDR3 3GB를 적용하여 대역폭 및 램 사용량에 있어 상당히 여유로운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습니다. 내장 메모리는 32GB 및 64GB 두종류 모델로 나뉘었으며 마찬가지로 마이크로SD카드를 통해 추가 메모리 장착이 가능하게끔 하였습니다.
기존 갤럭시노트2에서 디스플레이가 공개당시 HD Super Amoled 였지만 확인결과 Sstipe RGB로 나타나게 되었지만 갤럭시노트3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것에서 한단계 발전된 FullHD Super Amoled를 사용하였습니다. 한때 이 부분에 대해서 논란이 있었는데 선진국에는 Amoled 버전이 출시되고 잘 살지 못하는 국가에는 LCD 버전이 출시된다는 루머가 떠돈적이 있었습니다만 양쪽 모두 AMOLED 버전이 출시됨과 동시에 논란은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LTE 모델은 Cat4 지원모델로서 다운로드 150Mbps,업로드50Mbps를 지원는데 광대역이 구축된 지역이라면 정상작동하였습니다. 주로 수도권에서 해당 성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었고 해외 로밍사용자 역시 주파수가 정상적으로 잡히는 스마트폰이라면 LTE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대한민국 초고속 인터넷 속도가 평균 100Mbps 라는 것을 생각해볼때 최대 150mbps의 LTE속도는 대단한 속도임에는 틀림없었습니다. 현재는 기가인터넷도 출시하였고 가격도 많이 내려간 상황이지만 3G 속도만 되도 스마트폰 인터넷을 무리없이 할 수 있는 상황에서 LTE 최고속도라는 것은 스마트폰을 더욱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갤럭시노트3 배터리 용량은 기존 갤럭시노트2에서 100mha 늘어난 3200mha의 착탈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100mha의 늘어난 배터리용량보다는 스마트폰 최적화 작업을 통해 단순히 100mha가 늘어난 배터리 제공에 따른 스마트폰 통화시간보다 3시간이상 긴 배터리 사용량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성능이 향상된 것은 배터리뿐만 아니라 카메라 역시 성능이 향상되었는데 무려 4k 30fps 지원과 동시에 720p 120fps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4k 지원리나는 것은 그당시로서는 엄청난 발전을 이룬게 된 셈이지만 30fps 라는 다소 한계점이 보이기도 했으며 동영상 촬영시간이 5분으로 제한되기도 하였습니다. 휴대폰이라는 기기는 일반적인 컴퓨터와 같은 대용량 저장공간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4k 녹화는 5분은 커녕 1분만 진행해도 엄청난 용량을 잡아먹기 때문에 시도는 좋았으나 그다지 크게 사용되지는 않은 기술이었으며 120fps 녹화시 소리가 녹음되지 않는 등의 약간의 문제점이 있게 되자 둘다 역시 시도는 좋았으나 비운의 막을 내리게 됩니다.
2013년 9월 출시하고 판매된 삼성 갤럭시노트3 스마트폰은 출시15개월이 지나기도 전에 대란이 일어나게 됩니다. 쉽게 말하자면 스마트폰을 다루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만한 가장 유명한 갤럭시S3 대란이 있을겁니다. 일명 17만원 대란이라고도 불렸는데 해당 갤럭시노트3 스마트폰 역시 대란의 희생자가 되었습니다. 가격이 점점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출고가 100만원대인 스마트폰에 100만원 이상의 보조금이 지급되는 상황까지 오게 되자 일명 개나소나 갤럭시노트3를 10만원대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때까지는 휴대폰 할부원금이 10만원대였지만 늘 붙는 조건이 있었습니다. 바로 약정기간을 59요금제로 6개월 이상 유지해야 하는 조건이 있었지만 몇달 후 이 조건도 사라지고 번호이동고객에 대해 휴대폰 할부원금이 최대 39400원까지 내려간 뒤 시작부터 무약정이라는 기적이 일어나게 됩니다.
갤럭시노트3는 안드로이드 OS 4.3 젤리빈을 탑재하여 출시된 기기로서 2016년 9월 안드로이드 5.0 롤리팝버전까지 지원하게 됩니다. OS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동안 몇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요 인터넷 이용중 끊기거나 프리징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였고 와이파이는 연결되었으나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멀티 윈도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 자잘한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결국 수정펌웨어를 배포하고 어느정도 문제는 사라지게 되었지만 사람들 입에서 오르내리게 되며 갤럭시노트3 이미지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갤럭시노트3 논란에 대해서도 몇가지 말해보자면 우선 가장 유명한 홈버튼 유격 논란이 있었습니다. 간혹 갤럭시노트3를 사용하는 유저들 중 홈버튼이 상하로 흔들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제가 간혹이라고 말했지만 이 당시 갤럭시노트3 관련 게시판을 보면 해당 증상으로 고생을 하는 분들이 종종 보였습니다. 개통14일 이전이라면 교환을 받는 것이 가능햇으나 재수가 없을 경우 홈버튼이 또 흔들거리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었기에 약간은 복불복의 성격을 가진 홈버튼 유격 논란이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삼성측에서는 해당 사건을 통해 사소한 문제라고 여기며 리콜같은것은 하지 않은 채 그냥 넘어가고 말았습니다.
다른 문제로는 벤치마크 부스터를 사용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은 출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벤치마크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된 벤치마스 소스에 부스터 명령어가 들어가있다는 주장이 있었으며 이는 사실로 드러났습니다. 문제는 삼성전자 갤럭시노트3 뿐만 아니라 다른 제품들에도 벤치마크 부스터 명령어가 들어간 상황이라 해외 벤치마크 사이트에서는 벤치마크 부스터 명령어가 들어간 갤럭시노트3, 갤럭시노트10.1 2014에디션 등의 모델을 리스트에서 제외시켜 버립니다.
삼성 갤럭시노트3 역사와 대란이라는 제목으로 자세하게 여러가지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삼성 갤럭시노트 시리즈는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상황에서 갤럭시노트3를 신품으로 구매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저도 해당 대란사태때 스마트폰 교체를 시도해보았으나 개인사정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는데요 단통법으로 인해 휴대폰 대란은 지하경제로 사라져 지금은 쉽게 찾아볼 수 없습니다. 다음글은 갤럭시노트4 기기를 자세하게 다뤄볼까 합니다.
'Mob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갤럭시노트5 그 찬란한 역사를 되짚어보다 (0) | 2017.05.14 |
---|---|
갤럭시S8 스펙 및 사양 상세하게 알아봐요 (0) | 2017.05.14 |
아직까지 현역인 갤럭시노트4 알아보기 (0) | 2017.05.14 |
삼성 갤럭시노트2 전작에 비해 차이는 (0) | 2017.05.13 |
삼성 갤럭시노트1 사양 및 역사 (1) | 2017.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