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S8 스펙 및 사양 상세하게 알아보기 위한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갤럭시S8
현재시간으로 최신 스마트폰인 삼성 갤럭시S8은 삼성전자가 2017년 3월 말경 공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서 갤럭시 뒤에 S8이 붙은 만큼 8번째 모델이라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S8 플러스라는 모델도 존재하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갤럭시S8만을 가지고 설명을 드려보려고 합니다. 전반적으로 외형은 삼성 갤럭시S6 엣지 모델부터 시작된 좌우 각진형태를 계승하고 있는데요 엣지라는 이름이 들어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형태를 띄고 있다는 것은 나름대로 삼성전자만의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잘 보시면 기존 갤럭시S 시리즈와 다른 부분이 또 있는데요 기존에 존재했던 홈 버튼이 사라졌습니다.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고 물리형 구조에서 소프트웨어 형 터치구조로 변경되었는데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홈 버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물리형 구조와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갤럭시S8에 들어간 디자인 색상으로는 총 5가지 색상으로서 아크틱 실버,메이플 골드,코랄 블루,오키드 그레이,미드나잇 블랙 이렇게 구분이 된다고 합니다.
갤럭시S8 AP는 삼성 엑시노트 8895와 퀄컴 스냅드래곤 835 중 내수용 또는 해외용으로 구분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CPU는 옥타코어를 사용한다고 하는데요 10nm계열 모바일 AP를 생산 및 탑재한 최초의 스마트폰 중 하나로서 이전 공정대비 성능이 25% 향상되었으며 전력 효율이 30%가량 증가하였으며 2017년 이전 스마트폰 모델들에 비해서 성능이 크게 앞서고 있다고 합니다.여기서 중요한게 전 AP와 CPU가 같은 것인 줄 알았습니다. AP와 CPU의 차이를 잘 몰라서 그랬던 것이었기도 한데 다시 알아본 결과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AP는 그래픽,통신등 다양한 기능이 한데 묶인 Application Processor의 약자라고 합니다. 물론 CPU의 역할도 어느정도 담당하고 있지만 CPU가 따로 내장되어 있어 둘의 기능을 분리하면서도 AP에서도 CPU의 기능을 어느정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둘을 혼동하는 일은 가급적 없으셔야 하겠습니다.
갤럭시S8에 사용된 램은 LPDDR4X SDROM 4GB가 사용되었습니다. 점점 스마트폰 성능이 올라감에 있어서 램 역시 동일하게 성능이 올라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S8 플러스가 4GB 및 6GB 두 종류에 대해서 다르게 판매하고 있는 것에 비하면 갤럭시S8은 어떻게 보면 성능이 약간 낮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하여튼 이러한 모바일 시장에 램 공급이 가속화되자 컴퓨터 시장의 램 가격이 상승하는 어처구니 없는 현상까지 발생하게 됩니다. 컴퓨터 시장에 공급해야 할 램을 모바일 시장으로 돌렸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는데요 그로인해 한동안은 모바일 시장에 의한 컴퓨터 램 가격 상승이 계속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내장 메모리는 64GB가 장착되었으나 마이크로SD 카드를 이용한 용량 확장이 가능하며 최대256GB 메모리카드 이용이 가능합니다. 내장 메모리는 해외 모델과 내수용 모델의 낸드 플래시 버전이 다르다는 점에서 한때 논란이 되었던 적도 있었습니다. 삼성 갤럭시 시리즈 내장메모리 역사로 볼때 이전 모델중 유일하게 갤럭시노트5에서 메모리 용량 추가가 불가능했지만 다시 회귀하였던 적도 있었는데 그 이유는 내장 메모리와 마이크로SD 카드의 입출력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스마트폰 성능이 저하된다는 이유에서 메모리 용량 추가가 불가능했던 적이 있었지만 어느정도 패널티를 감수하고서라도 내장 메모리를 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다시 마이크로SD 카드 추가가 가능하게끔 출시를 하게 되었습니다.
삼성 갤럭시S8에 적용된 디스플레이모델은 5.8인치 18:5:9 비율의 2960*1440 해상도를 가진 Super Amoled Infinity Display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화면의 크기가 시리즈를 거듭할 수록 점점 커지며 갤럭시노트와 별반 다르지 않는 크기로 거대화 되고 있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갤럭시S8에 적용된 해상도는 2560*1440의 WQHD 해상도에 가로버전을 늘린 해상도라 할 수 있으며 삼성전자는 이 해상도를 가지고 Quad HD+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아마도 정식으로 부를만한 표기 방식이 없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해상도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최대 해상도인 2960*1440에서 시작하는 것은 아니며 2220*1080 해상도로 시작하여 설정에서 해상도 조절을 최대 2960*1440까지 가능하게끔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배터리 용량은 3000mha로 적용되었는데 전작인 갤럭시S7과 배터리 용량이 동일하게 정해졌으나 10nm 모바일 AP 탑재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크게 늘었기에 배터리 용량에 대해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갤럭시노트5 및 갤럭시S6부터 진행된 무선충전 및 고속 무선충전 역시 갤럭시S8 동일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LTE 지원은 최대 1Gbps를 다운로드 보장하며 벙로든느 최대 150Mbps를 보장합니다. 유선 인터넷도 아닌 무선인터넷으로 특별한 인터넷 없이 기기자체 신호만 받아 1Gbps 다운로드 속도를 지원한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 아닐수가 없습니다. 카메라는 후면 1200만 전면 800만 화소의 카메라를 탑재했는데 전작인 갤럭시S7에 비해 카메라 센서를 개량한 것 외에는 크게 다른 점이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갤럭시S8 보안향상을 위해 지문인식 및 홍채인식 방식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지문인식은 예전에는 홈버튼에 지문인식 센서를 달아놓았으나 홈버튼이 사라지며 지문인식 센서를 사용할 수 없게 되자 후면 카메라 모듈 좌측면에 지문인식센서를 탑재하였습니다. 갤럭시노트7에도 적용되어 있는 홍채인식 방식이 갤럭시S8에도 적용되어 있는데 전면 상단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보안기능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으로 인해 각종 은행 모바일앱 진행시 홍채인식 시스템 도입으로 보안기능을 대체하는 방식을 서비스중에 있지만 많은 은행이 적용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홍채인식이 갤럭시노트7부터 적용된 만큼 비교적 최근에 적용된 방법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난다면 더욱더 많은 은행들이 홍채인식 시스템을 은행앱에 내장하여 더욱더 편리한 인터넷 뱅킹 작업이 진행되리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S8에서 도입된 Dex 스테이션은 얼핏보면 윈도우 환경을 모니터와 Dex 기기가 연결된 장치에 연결함으로서 일반 PC처럼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작업은 진정한 의미의 일반 PC사용은 아니며 단지 안드로이드 OS를 모니터 화면에 띄워놓고 키보드 및 마우스 조작을 위해서 사용가능한 작업이라 볼 수 있습니다. 즉 어떻게 보면 스마트폰으로 윈도우를 구동하는 방식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삼성전자측에서도 이를 어느정도 인지하고 있어 가상 데스크탑을 이용한 윈도우10 사용이 가능하게끔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이 가상 데스크탑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윈도우10 설치PC를 Dex 기기를 연결 후 원격연결하는 방식으로 그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팀뷰어와 같은 원격 연결과 같은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어떻게 보면 Dex 스테이션은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폰의 일반PC화는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반쪽짜리 Dex 스테이션이 되자 삼성전자와 마이크로소프트가 합작한 삼성 갤럭시S8 MS에디션을 출시한다는 기사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판매되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삼성 갤럭시S8 대란 이야기를 간단하게 해보자면 해당 스마트폰 역시 대란을 피해가지 못했습니다. 요즘 발생하고 있는 대란은 정보가 없이는 대란탑승으로 인한 스마트폰 구매가 불가능한데요 어느정도 스마트폰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대란을 접하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2017년 5월 초 출고가 기준 약 60만원 이상의 보조금 책정이 되자 황금연휴를 이용한 보조금 대란이 일어났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현재는 해당 대란을 이용하여 갤럭시S8 구매를 한다는것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일단 한번 발생했기 때문에 또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으므로 휴대폰 구매가 급하지 않은 이상 언제나 신중에 신중을 기해 구매진행을 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갤럭시S8 스펙 및 사양 및 기타 여러가지에 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과연 갤럭시S8 Dex 스테이션으로 윈도우10을 가동했을때의 느낌은 얼마나 대단할지 기대됩니다.
'Mob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운의 역사를 맞이한 갤럭시노트7 스마트폰 (0) | 2017.05.15 |
---|---|
삼성 갤럭시노트5 그 찬란한 역사를 되짚어보다 (0) | 2017.05.14 |
아직까지 현역인 갤럭시노트4 알아보기 (0) | 2017.05.14 |
삼성 갤럭시노트3 역사와 대란 (0) | 2017.05.13 |
삼성 갤럭시노트2 전작에 비해 차이는 (0) | 2017.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