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선물로 좋은 효도폰 한번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효도폰이란 무엇인가
효도폰이라고 어디서 들어보신적 있으시지 않으신가요? 효도폰은 바로 나이든 부모님을 위해 장만해드리는 전화로서 전화 본연의 기능만 존재하는 휴대폰을 효도폰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전화 및 문자 기능 외에 간단한 주소록 저장정도만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화면에 뜨는 글자와 버튼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어르신 들이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습니다. 또한 가격도 저렴해 휴대폰 교체에 부담이 적으므로 70대이상 노인분들에게 많은 인기가 있습니다.
휴대폰의 발전은 일반적인 휴대폰에서 PDA폰으로 그리고 스마트폰까지 적지 않은 시간에 걸쳐서 개발이 되어 왔는데요 시간이 지날수록 성능이 좋아지는 대신 그만큼 가격 상승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휴대폰 대란이 터지거나 정보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휴대폰을 싸게 구매하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실제 요즘도 정보력이 어느정도 있는 사람들이라면 불법 보조금을 통해 휴대폰을 싸게 구매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요즘 기본적인 조건이 59요금제 6개월 유지 후 요금제를 내리는 것이기 때문에 결코 휴대폰을 싸게 구매한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고가의 휴대폰 정책에 사람들은 집집마다 통신비가 평균 1인당 4~5만원가량 되는 시기가 도래했고 평균적으로 돈을 크게 벌지 못하는 어르신들은 이러한 통신비를 감당하기 어렵자 휴대폰 가격을 줄이고 기능도 전화 및 문자만 가능하고 기타 기능을 없애버린 예전의 피쳐폰을 효도폰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기 시작하게 됩니다. 어떻게 보면 시대가 너무 빠르게 흐르다보니 기능이 없는 휴대폰이 오히려 플러스 효과를 보게 된 셈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휴대전화의 본연에 충실한 전화 및 문자기능을 가진 효도폰을 가지고 폰팔이들의 장난이 시작되었습니다. 당연히 가격이 저렴한 휴대폰을 가지고 요금제장난질을 통해 높은 가격에 휴대폰 계약서를 작성하게 하는 행위를 일삼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러한 행위는 굳이 어르신들이 아니더라도 휴대폰에 대해서 잘 모르면 쉽게 당하게 되는데요 예를들면 KT의 휴대폰 요금 중 34요금제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요금제가 존재하는지까지는 모르겠으나 어쨌든 이 34요금제는 기본적으로 7000원의 할인이 들어가게 되는데요 이 금액은 요금제 정책상 당연하게 들어가있는 정책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27요금제라고 하는게 맞습니다만 이 요금제를 가지고 선심을 쓰듯이 폰팔이들이 자기가 할인해주는 것 마냥 사기를 쳐서 몇년전까지만 해도 해당 요금제로 인한 피해가 상당했었습니다. 요즘은 요금제 자체를 내려버리고 할인이 존재하지 않는 LTE요금제가 존재하지만 이런식으로 휴대폰 요금제 장난질을 하는 업체가 많았기 때문에 어르신들은 공짜폰이라는 말에 속아서 덥석 휴대폰을 구매하는 일이 잦았습니다. 실제로 정상적인 상황에서 휴대폰기기 값이 0원인 경우는 없다고 보시면 되며 불법보조금을 통한 가격할인이 있더라도 59요금제 6개월 유지라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찌되었든 휴대폰을 0원에 구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효도폰 속에서도 어르신들께 스마트폰을 선물하는 일도 종종 있었는데요 어르신들이라고 해서 무조건 크고 아름다운 효도폰만 좋아하는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저희 부모님만 해도 60세를 넘긴 분들이지만 스마트폰을 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으며 요금도 나름대로 합리적인 스마트폰을 구해다 드렸기 때문에 부모님 두분 다 성능이나 활용면에서 만족해 하고 있습니다. 부모님께서 휴대폰을 사용하신다고 해서 무조건 기능이 없는 것이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현재의 20대에서 30대정도되는 사람들에 있어서 부모님들에게는 효도폰은 전혀 어울리지 안흥며 이분들에게는 스마트폰을 지급해야 하지만 부모님의 부모님인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로 가야만 효도폰이 제대로 발휘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결국 할머니 또는 할아버지라 하더라도 모두가 효도폰을 좋아하는 것은 아닙니다. 노인분들이 할일이 없으면 노인정에 가거나 그들만의 리그가 펼쳐지곤 하는데 그 사람들 모두가 효도폰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으며 누군가는 그 중에서도 삼성 갤럭S8과 같은 고급 스마트폰을 가진 사람이 있을 것이고 그것을 보다보면 결국 노인분들도 내색은 하지 않지만 사고 싶은 마음은 종종 있게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최신형 스마트폰을 구매하여 드리기 보다는 효도폰 명목으로 적당한 성능의 스마트폰을 효도폰 대용으로 드려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스마트폰을 어르신들께 드려야 할까요? 가장 먼저 브랜드를 꼽을 수 있습니다. 어른들이 아무리 스마트폰을 몰라도 삼성,엘지 이정도는 알고 있습니다. 어른들에게 드리는 휴대폰으로는 무조건 삼성 스마트폰을 드리는 것이 효도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은근히 브랜드를 따지는 어르신들이 상당히 많으며 스마트폰이 아니더라도 삼성,LG가 대단한 기업이라는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스마트폰 선택과 비슷한 논리로 삼성컴퓨터가 아직도 판매량이 적지 않음을 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 부분에 있어서는 비유가 좀 다를 수 있지만 컴퓨터를 좀 만진다 하는 사람들은 대기업 컴퓨터를 구매하는 일이 없지만 부모님세대에 있어서는 컴퓨터 역시 브랜드로 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직도 적지않은 컴퓨터 판매량을 삼성,LG에서 차지하고 있습니다.
브랜드를 삼성으로 고르셨다면 다음으로는 화면 선택을 해야 하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약간의 호불호가 갈리기 때문에 원하는 형태로 맞춰드려야 합니다. 만약 화면이 작은 스마트폰을 원하시는 사람들이라면 갤럭시S3 또는 갤럭시S4정도 되는 스마트폰 크기여야 하며 화면을 크게 보시고 싶으시다는 분들이라면 갤럭시노트3정도되는 저렴한 스마트폰을 드리면 틀림없이 만족해 하실 겁니다. 당연히 이러한 스마트폰에는 DMB가 내장되어 있으며 인터넷도 무리없이 가능한데다가 어떠한 작업을 하더라도 크게 끊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가격면에서나 성능면에서나 이정도 성능을 가진 스마트폰을 구매해드린다면 효도폰 대용으로 아주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러한 효도폰 문제를 결정하는 요인은 효도폰을 받는 상대방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봐도 되는데요 부모님이 무엇을 원하시느냐에 따라 스마트폰이 효도폰을 대신할 수도 있으며 앞서 말했던 전화와 문자의 기능에 충실한 피쳐폰이 효도폰으로 선택될 수도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어렵다 하더라도 요즘은 스마트폰 마저 원격AS가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자녀들이 스마트폰 원격연결을 통해 문제해결이 어렵지 않게 가능합니다. 참고로 이 작업은 데스크톱과 모바일 간의 연결이 기본이며 역으로도 가능하지만 스마트폰끼리의 워격지워은 아직까지는 불가능하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어르신에게 선물할 스마트폰은 성능이 높다고 좋은것은 아니며 기능이 좋아야만 더 사랑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지금도 현역으로 달리고 있는 갤럭시노트5의 경우 스마트폰으로는 적절하지 못한데요 우선 안테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DMB 앱이 있어도 이어폰 연결 없이는 DMB 시청이 불가능합니다. 메모리 용량 확장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른들끼리의 유머를 카카오톡으로 전달하는 입장에서 용량경고가 뜰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크게 두가지 예를들었지만 이런식으로 스마트폰을 효도폰 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생각해봐야 할 문제들이 종종 있습니다. 간혹 부모님이 오래된 휴대폰을 사용하시는 경우 전화번호를 바꾸기 싫어할 수 있습니다. 주로 011 또는 016과 같은 번호를 사용하는 분들이 대표적인데요 스마트폰으로 넘어오게 될 경우 기존의 011번호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런 상황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결국 2G폰을 알아봐야 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부모님 선물로 좋은 효도폰에 대해서 여러가지 알아보았습니다. 효도폰이라고 해서 무조건 피쳐폰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 성능이 좋아져봤자 일반인들이나 부모님들이나 하는것은 결국 거기서 거기기 때문에 부모님 성향에 맞춰 효도폰을 골라보시기 바랍니다.
'Mob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S3 스마트폰은 어쩌다 대란이 일어났는가 (0) | 2017.05.20 |
---|---|
대란의 시작 갤럭시S3 스마트폰 (0) | 2017.05.20 |
스마트폰이란 과연 무엇일까 (1) | 2017.05.16 |
비운의 역사를 맞이한 갤럭시노트7 스마트폰 (0) | 2017.05.15 |
삼성 갤럭시노트5 그 찬란한 역사를 되짚어보다 (0) | 2017.05.14 |